개발하는 과정 속에서 서버를 구성하는 것은 매우 귀찮으면서도, 비용도 들어가니 쉽지 않다.
AWS, GCP 등등의 여러 플랫폼에서는 일정기간이나, 아님 크레딧을 주어 어느 정도 무료로 쓸 수 있게 해 주지만, 그마저도 한정적이라 다른 방안을 찾아야 한다.
우리는 크레딧이 들지 않으며, 무료로 쓸 수 있는 머신을 하나 설정해 서버를 간단하게 구축해보고자 한다.
이에 사용되는 것이 바로 Google Cloud Platform이다.
1. 무료머신 제공환경 확인하기
gcp에서 제공하는 무료머신의 지역은 다음과 같다.
또한 한도가 인스턴스단위가 아닌 시간별 제한,
즉 무료머신을 무한정 만들더라도 할당된 시간만 넘기지 않으면 상관없다는 말
gcp에서 제공하는 환경이 변경될 수도 있으니 직접 들어가서 확인해 보자. (바뀌더라도 설정방법에 대해서는 큰 차이 없다.)
https://cloud.google.com/free/docs/free-cloud-features?hl=ko#compute
Google Cloud 무료 프로그램 | Google Cloud Free Program
이 페이지는 Cloud Translation API를 통해 번역되었습니다. 의견 보내기 Google Cloud 무료 프로그램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. Google Cloud의 기본
cloud.google.com
2.VM인스턴스 생성하기
gcp에서 compute Engine console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보인다.
상단에 빨간 박스의 인스턴스 만들기를 클릭한다.
1. 이름 : 자신이 원하는 인스턴스이름이다. 나중에 사용할 일이 있으니 되도록이면 쉽게 정하자
2. 리전 : 인스턴스의 위치설정이다. 우리는 무료 vm을 구성해야 하므로 gcp에서 제공하는 무료위치를 선택하자
-오리건, 아이오와, 사우스캐롤라이나 가 있는데 그중 우리랑 그나마 가까운 오리건을 선택한다
(다 써본 결과 차이는 크게 없다..)
3. 영역 : 그나마 성능이 잘 나오는 곳을 선택하는 것인데, 별 상관없다.
그 밑으로 살짝 내려오면 머신을 고르는 부분이 있다.
이중 우리는 E2의 e2-micro를 선택해 준다. 그 외의 머신들은 비용이 발생한다.
그다음 부팅디스크를 찾아준 후, 변경을 누르면
1. 운영체제 : Ubuntu로 선택해 준다.
2. 버전 : Ubuntu의 버전을 선택하는 것인데 보통 운영체제를 고르면 자동으로 알맞은 버전을 선택해준다.
3.!! 매우 중요!! 부팅 디스크 유형 : 저장공간 디스크를 선택하는 것이다.
무. 조. 건 표준 영구 디스크를 선택해 준다. 이외 다른 것은 추가비용이 발생한다.
4. 크기(GB) : gcp에서 30GB를 무료로 제공해 주므로 30GB로 설정한다.
이제 선택을 눌러 설정해 준다.
그다음으로는 방화벽 설정이다.
HTTP/HTTPS 트래픽을 모두 허용해 준다. (체크해 주면 됨)
여기까지 모두 설정하였으면 예상 월별 비용이
로 나올 것이다. 두려워하지 않아도 된다.
해당 비용은 결산보고서를 확인해 보면 알겠지만, 그대로 할인되어 최종적으로 예상비용이 0원이 뜰 것이다.
이제 만들기를 눌러 인스턴스 목록을 확인해보면
정상적으로 잘 만들어져 있을 것이다.
'GCP(Google Cloud Platform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CP | 포트 방화벽 규칙 설정하기 (1) | 2024.11.15 |
---|---|
GCP | VM에서 Mysql 설치하기 (0) | 2024.11.15 |
GCP | VM 인스턴스 24시간 돌리기 - tmux (0) | 2024.11.11 |
GCP | VM가상머신 putty로 접속하기 (2) | 2024.11.09 |